“단돈 1천 원?”… 부산, 바다 위 127m에서 느끼는 아찔한 다리 명소

(여행지도 용태영 기자) 부산을 떠올리면 화려한 해운대나 야경이 먼저 스친다. 하지만 진짜 부산의 이야기는 상처를 딛고 다시 일어선 회복의 힘에 있다.


송도용궁구름다리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부산관광공사
송도용궁구름다리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부산관광공사


그 상징적인 공간이 바로 ‘송도용궁구름다리’다. 한때 태풍에 무너졌던 다리가 시민의 염원 속에 되살아나면서, 부산의 바다는 다시 한 번 사람들의 발걸음을 불러 모았다.


1964년 처음 세워졌던 옛 송도구름다리는 당시 신혼여행 명소로 불릴 만큼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2002년 태풍 ‘셀마’로 붕괴되면서 긴 세월 동안 흔적만 남았다. 이 다리가 다시 세상과 만난 것은 무려 18년이 지난 2020년 여름이었다. 새로운 이름, 새로운 구조, 그러나 잃었던 기억을 품은 채였다.


현재 송도용궁구름다리는 부산 서구 암남공원에서 동섬으로 이어진다. 길이 127m, 폭 2m의 다리는 유려한 곡선으로 바다를 가르며 이어진다. 발아래 25m 아래로 푸른 바다가 철망 사이로 출렁이는 순간, 사람들은 두려움보다 설렘을 먼저 느낀다. 


송도용궁구름다리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이범수
송도용궁구름다리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이범수


이곳의 매력은 단지 높이와 길이에 있지 않다. 암남공원의 숲길을 따라 걷다 다리에 닿는 순간, 갑자기 시야가 확 트이며 동섬이 눈앞에 펼쳐진다. 바람이 얼굴을 스치고, 파도 소리가 발끝을 적신다. 도심과는 다른, 오롯이 자연의 호흡이 들리는 장소다.


이 놀라운 경험의 입장료는 단돈 1,000원이다. 부산 서구는 더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부담 없이 이 공간을 즐기길 바란다는 뜻에서 상징적인 금액만 받는다. 서구 주민과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도시의 상처와 기억을 함께 치유하자는 초대장이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개장 이후 큰 호응을 얻었다. 송도용궁구름다리는 문을 연 지 단 1년 만에 누적 방문객 100만 명을 넘어섰다. 부산 시민뿐 아니라 타지와 해외 관광객들까지 발걸음을 이어오며, 지금은 ‘부산에서 가장 먼저 찾는 명소’로 손꼽힌다.


송도용궁구름다리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부산관광공사
송도용궁구름다리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부산관광공사


이 다리는 단독 명소가 아니다. 송도해상케이블카, 송도구름산책로, 송도해수욕장을 잇는 ‘송도 관광 벨트’의 완성점이다. 케이블카로 바다를 가르며 다리를 조망하고, 다리를 건넌 뒤에는 해안선을 따라 걷는 여정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