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도 용태영 기자) 에콰도르 전역에서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자 우리 외교부가 내륙 지역 전체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정부는 긴급하지 않은 용무가 아니라면 여행을 즉시 취소하고, 현지 체류 중인 국민은 신속히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권고했다.

외교부는 8일 오후 3시부로 이번 조치를 시행하며 “국민 안전이 최우선이며, 정세 악화 시 추가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경보는 현지 사회 혼란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내려진 조치다.
시위 3주째…대통령 차량까지 공격당한 혼란
시위는 정부의 연료 보조금 폐지 결정에서 비롯됐다. 교통비 급등에 반발한 운송업계와 농민, 학생, 원주민 단체가 거리로 나서면서 불만이 전국으로 번졌다. 주요 도로는 차단됐고, 도심 곳곳에서 화염병과 경찰의 최루탄이 맞부딪히는 격렬한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대통령 차량이 공격을 받는 등 치안 공백이 심화됐다. 외신은 “3주 넘게 지속되는 대규모 시위로 인해 에콰도르의 사회 불안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전했다.

외교부 “내륙 전역 위험…긴급 용무 외 방문 자제”
외교부는 이번 조치로 갈라파고스 제도를 제외한 내륙 전 지역을 특별여행주의보로 상향했다. 갈라파고스는 기존 2단계 ‘여행자제’ 경보를 유지하지만, 내륙의 과야스·아수아이·로스리오스 등 7개 주는 여전히 3단계 ‘출국권고’ 수준이다.
정부는 “특별여행주의보 지역은 단기간 내 위험이 급증한 상황으로, 2~3단계 수준의 행동수칙을 준수해야 한다”며 “체류 국민은 현지 소식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가능하면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에콰도르 정부는 이미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일부 지역에 야간 통행금지령을 내렸지만 시위는 잦아들지 않고 있다. 원주민 연합과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서민 생존권을 위협했다”며 개혁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지 언론은 정부가 경찰과 군 병력을 투입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으나, 물가 상승과 생활고에 시달리는 시민들의 분노를 잠재우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여행 취소·보험 확인 등 안전 대비 필수
현재 우리 정부의 해외여행 경보는 1단계 ‘여행유의’부터 4단계 ‘여행금지’까지 네 단계로 나뉜다. 이번 특별여행주의보는 단기적 위험이 급증한 국가에 일시적으로 발령되는 조치로, 통상 2~3단계 수준의 행동요령을 요구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단기 경보로 그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정세가 장기화될 경우, 보험 적용 범위나 항공 일정 조정 등 실질적 불편이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여행자 보험의 경우 시위나 폭동은 보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 사전에 약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