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도 용태영 기자) 경기도 가평의 한 펜션을 찾은 6명의 친구들이, 1박 숙박에 88만9000원을 지불하고도 냉장고 고장과 추가 요금으로 불쾌한 경험을 했다는 후기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퍼지고 있다.

이용객 A씨는 예약 당시 69만9000원을 결제했지만, 체크인 후 기준 인원을 2명으로 설정한 펜션 측이 1인당 3만 원씩 총 15만 원의 추가 요금을 현금 이체로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A씨는 “9명이 잘 수 있는 침대가 갖춰져 있음에도 2인이 기준이라는 설명은 납득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카드 결제 거부, 현장 추가 요금… 의도적 운영 논란도
현장 추가 비용은 숙박비에만 그치지 않았다. 펜션 테이블에 비치된 전기 그릴 사용에 대해서도 테이블당 2만 원의 추가 요금이 부과됐고, 이 역시 카드 결제가 불가능했다. A씨는 “전기세 수준의 요금이었지만, 미리 고지된 것도 아니었고 현장에서 추가 결제를 요구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예약 단계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비용 구조와 비공식 결제 방식은, 숙박 업계 일부에서 고의적으로 단가를 낮춰 표시한 뒤 현장 추가 요금으로 수익을 내는 운영 방식을 연상케 한다.

냉장고 고장으로 음식 상해… “25만원치 식재료 무용지물”
숙박 당일 A씨 일행은 인근 마트에서 약 25만 원어치의 식재료를 구매해 숙소 냉장고에 넣었다. 그러나 몇 시간 뒤, 냉장고 안에서 쉰내가 나기 시작했고 대부분의 음식이 상해버렸다. 이에 펜션 측에 항의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음식을 너무 많이 넣어서 그럴 수 있다”는 것이었다.
A씨는 “음식을 절반가량 뺀 뒤에도 냉장 기능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며 단순한 과부하가 아닌 냉장고 자체의 고장을 원인으로 지적했다.

“이 돈이면 해외 고급 숙소 가능”… 소비자들의 불만 커져
해당 사연은 지난 8월 2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된 이후, 누리꾼들 사이에서 빠르게 공유되며 숙박업계의 고질적 문제들을 다시 조명하게 했다. 특히 “이 돈이면 동남아 풀빌라도 가능하다”는 글쓴이의 말에 많은 이들이 공감하며, 국내 숙박 가격과 서비스 수준의 불균형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국세청에 민원 넣어야 한다”며 신고를 권유했고, 다른 이들은 “현장 추가 요금이 이젠 일상이 됐다”, “냉장고 고장은 선 넘은 일”이라며 분노를 표했다.

‘숙소 기준 인원’의 허점… 소비자 기만 구조 문제 드러나
이번 사례가 주목받은 이유는 단순한 불만 후기를 넘어서, 국내 펜션 업계 전반에 퍼져 있는 불투명한 요금 책정과 기준 인원 설정 방식의 허점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기준 인원 2명’이라는 설정은 합법적일 수 있으나, 실제 객실 구조나 비품 구성과 현저히 다를 경우 소비자 혼란을 유도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기준 인원을 낮게 설정한 뒤 추가 인원 요금으로 수익을 내는 방식은 일종의 가격 왜곡으로 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전 고지 의무화” 소비자 보호 장치 필요성 제기
전문가들은 이러한 사례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숙박업소에 대한 사전 고지 의무 강화와 소비자 피해 보상 절차 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기준 인원 설정과 추가 요금, 결제 수단 등의 정보는 필수적으로 고지하고, 플랫폼 역시 이를 명확히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냉장고 고장이나 시설 불량 등 서비스 품질 문제도 신고 및 환불 제도를 통해 소비자가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가평 펜션 사례는 단순한 불편 경험을 넘어, 국내 숙박업의 신뢰 회복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예고 없이 부과되는 요금, 불량한 시설 점검, 비공식 결제 방식 등은 업계 전반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다.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업계의 자정 노력뿐 아니라, 플랫폼과 행정 기관의 체계적 대응이 동시에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