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로 북적이는 서울의 거리 풍경이다. [ⓒPexels ‘Huy Phan‘]](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58_5905_5315.jpg?resize=840%2C458&ssl=1)
중국인 단체관광객, 이른바 ‘유커’의 무비자 국내 관광이 9월 29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됐습니다. 법무부는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출입국 시스템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출입국관리정보시스템은 별도로 관리돼 정상 가동 중”이라며 예정대로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번 무비자 정책은 내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되며,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유커, 한국 관광 활성화라는 키워드가 업계와 관광지 전반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철저한 사전 점검으로 안전 강화
![여행객들이 보이는 인천공항의 모습이다. [ⓒ한국관광공사]](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58_5906_5327.jpg?resize=840%2C458&ssl=1)
법무부는 무비자 확대에 따른 불법 체류 우려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단체 관광객 명단을 사전 점검해 입국 규제자나 과거 불법 체류 전력이 있는 고위험군은 무비자 대상에서 철저히 배제하고 있으며, 출입국관리정보시스템은 국정자원 화재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도 시행에는 행정적 공백이 발생하지 않으며, 안전한 방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무비자 관광, 업계 기대감 고조
![서울 명동 거리를 거니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모습이다. [ⓒPexels ‘Theodore Nguyen‘]](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58_5907_5341.jpg?resize=840%2C458&ssl=1)
이번 무비자 제도는 국내외 전담 여행사가 모집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게 적용되며, 최대 15일 동안 비자 없이 한국을 여행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개별·단체 관광객 모두 3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합니다. 업계는 이 제도를 계기로 코로나19로 급감했던 중국인 관광객을 다시 대규모로 유치할 수 있다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방한한 중국인 관광객은 39만 2000명으로 2019년 대비 69% 수준에 불과했지만, 올해 7월에는 60만 2000명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추가 상승이 전망됩니다.
인천항 드림호 입항, ‘유커 특수’ 신호탄
![대형 면세점 쇼핑을 즐기는 관광객들의 모습이다. [ⓒ한국관광공사]](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58_5908_5353.jpg?resize=840%2C458&ssl=1)
국내 유통업계는 실제 손님맞이에 분주합니다. 이날 오전, 중국 톈진동방국제크루즈 소속 7만7000t급 ‘드림호’가 승객과 승무원 2870명을 태우고 인천항에 입항했습니다.
이에 맞춰 롯데면세점과 신라면세점은 각각 명동 본점과 서울점에서 유커들을 유치하며 다양한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면세점뿐 아니라 백화점, 편의점 업계도 알리페이, 위챗페이, 유니온페이 등 중국권 결제 수단 중심의 프로모션과 함께 ‘K푸드, K뷰티 기획전’을 마련하며 본격적으로 유커 맞이에 나섰습니다.
국경절·중추절 연휴 특수 기대
특히 업계는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과 중추절 연휴(10월 1~8일)를 앞두고 특수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단체 관광객이 입국하면서 명동, 동대문, 남대문은 물론, 제주·부산·강원도 등 지방 관광지까지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무비자 시행은 단순히 당장의 관광 유입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 쇼핑, 음식 콘텐츠를 중국 관광객에게 다시금 각인시키는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정부와 관광업계는 이번 기회를 계기로 방한 시장의 구조적 회복세를 가속화하고, 장기적으로는 한중 관광 교류의 신뢰를 더욱 강화한다는 구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