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에 무려 180만 원?”… 예산 23억 투입됐는데 ‘이 축제’ 앞두고 반응 싸늘

(여행지도 유시내 기자) 부산불꽃축제는 매년 수십만 명이 찾는 전국구 축제지만 올해 분위기는 예년과 사뭇 다르다.


부산불꽃축제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서영균
부산불꽃축제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서영균


불꽃쇼의 화려함보다 숙박비와 티켓 가격 폭등이 먼저 회자되면서, 축제를 기다리던 시민과 관광객들의 발걸음을 망설이게 하고 있다.


행사를 앞두고 광안리 인근 숙소 요금은 평소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으로 뛰었다. 온라인 예약 플랫폼에는 20만~30만원이던 객실이 축제 당일에는 100만원을 훌쩍 넘기며, 일부 숙소는 180만원에 이른다.


예약자의 동의 없이 가격을 올리고 취소까지 한 사례가 지난 7월 수영구청에 신고되기도 했지만, 법적 제재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부산불꽃축제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김효서
부산불꽃축제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김효서


문제는 숙박업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불꽃축제 유료좌석도 예외 없이 웃돈 거래에 휘말렸다. 10만원의 R석과 7만원의 S석은 예매 시작과 동시에 매진됐고, 중고 거래 플랫폼에는 정가의 2~3배를 붙인 암표가 줄줄이 올라왔다. 이 과정에서 ‘축제를 즐기려면 추가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는 불만이 시민들 사이에 번졌다.


부산시는 “표시 가격과 실제 요금이 다를 경우만 조치 가능하다”며 바가지 요금 자체를 규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결국 행정 차원의 대응은 미비하고,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 몫이 되고 있다.


올해 부산불꽃축제에는 약 23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지난해에는 27억 원이 집행됐다. 그러나 시민 세금으로 치러지는 행사임에도 정작 가장 큰 이익을 얻는 것은 일부 숙박업소와 상인이라는 점이 논란을 키우고 있다. 축제의 본래 취지인 ‘도시와 시민이 함께 즐기는 공공 축제’라는 가치가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안리 카페거리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전형준
광안리 카페거리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 전형준


지역 사회 일각에서는 자율적인 상생 노력이 없다면 축제가 오히려 지역 이미지를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상인들의 동참이 없다면 결국 관광객과 시민 모두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2일 국무회의에서 직접 언급했다. “조금의 이익을 위해 바가지를 씌운다면 지역 이미지 전체에 치명적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발언은 단순한 경고를 넘어, 축제를 둘러싼 문제를 전국적 논란으로 끌어올렸다. 이는 부산불꽃축제가 더 이상 지역 축제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방증한다.


부산불꽃축제는 단순한 불꽃놀이가 아니라, 도시 브랜드와 관광 활성화를 이끄는 핵심 자산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가격 폭등과 소비자 피해가 반복된다면 ‘축제’라는 이름이 무색해진다.


지속 가능한 축제를 위해서는 지역 상권의 자정 노력과 함께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 결국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을 때 비로소 축제는 제 역할을 다한다. 이번 논란은 부산불꽃축제가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야 할지 분명한 과제를 던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