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분, 혹시 비행기 탈 때
보조배터리(보조 충전기) 몇 개까지 들고 탈 수 있는지 아시나요?
요즘은 노트북, 태블릿, 핸드폰 다 들고 다니다 보니
보조배터리 2~3개는 기본인데요,
2025년부터 항공사별로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규정이 강화됐다는 사실!
제가 직접 자료 조사해서
대한항공, 아시아나, 에어부산, 외항사 등 주요 항공사의 규정을
한눈에 정리해봤어요.
비행기 탈 때 꼭 챙기셔야 할 정보입니다! ✈️
💡 항공사 공통 규정부터 체크!
2025년 기준, 대부분 항공사는 다음 기준을 따릅니다.
보조배터리 용량 | 반입 가능 여부 |
---|---|
100Wh 이하 | ✔ 기내 반입 가능 (최대 5개까지) |
100~160Wh | ⚠ 항공사 승인 필요 (최대 2개) |
160Wh 초과 | ❌ 반입 불가 (기내+위탁 모두 금지) |
기내 수하물로만 반입 가능하며, 위탁 수하물에는 절대 안 돼요!

참고: 보조배터리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mAh로 표시되지만, 항공사 규정은 Wh(와트시) 단위를 사용합니다. 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압(V) × 용량(mAh)) ÷ 1,000 = 용량(Wh)
예를 들어, 3.7V 전압의 10,000mAh 보조배터리는 약 37Wh입니다.
🛫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규정 총정리
1. 대한항공 ✈️
- 100Wh 이하: 최대 5개 가능
- 100~160Wh: 승인 시 2개 가능
- 160Wh 초과: ❌ 반입 불가
✅ 대한항공은 기본 규정에 충실하게 따르고 있어요.
2. 아시아나항공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
- 대한항공과 동일한 규정
- 기내 반입 전용, 위탁 절대 금지
✍ 아시아나는 해외노선 이용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3. 에어부산 ⚠️
- 100Wh 이하: 최대 5개 반입 가능
👉 단, 머리 위 선반 보관 금지! 직접 소지만 가능 - 100~160Wh: 항공사 승인 필요, 최대 2개
- 160Wh 초과: 반입 불가
🛬 최근 기내 화재 사고 이후 특별 규정 생김.
개인적으로 이 부분은 체크 꼭 필요하다고 봐요.
4. 스쿠트·싱가포르항공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규정
- 보조배터리 사용/충전 금지
- 기내에서는 그냥 꺼두는 걸로
🔋 아무리 충전 급해도 비행기 안에선 참아야 합니다!
5. 에바항공, 타이항공, 중화항공 등
-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사용 및 충전 모두 금지
- 충전 포트 있어도 사용은 제한됨
✈️ 외항사 이용 시 꼭 사전에 확인해보세요!
비짓재팬웹 등록 꿀팁: 일본입국 절차 준비하기(+오프라인등록)
📦 안전하게 들고 타려면?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팁!
- 절연 테이프나 파우치에 보관
→ 단자 충전부가 닿지 않도록! - 기내에서는 몸에 지니기
→ 좌석 앞 주머니 or 가방에 보관 - 절대 위탁 금지!
→ 가방에 넣어 맡기면 공항에서 압수될 수도 있어요 😢 - 기내 충전 금지!
→ 충전은 공항에서 다 하고 타세요
📌 실수하기 쉬운 포인트 요약
-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은 필수!
→ 제품 라벨에 보통 적혀있어요 - 160Wh 넘는 고용량 배터리는 집에 두고 가세요
- 기내에서 충전 가능한지? → 항공사마다 다름! 꼭 확인!
✍️ 개인적인 팁 하나 더!
저는 출국 전에 항상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 후, 절연테이프로 감싸서 파우치에 따로 보관해둡니다.
예전에 위탁수하물에 넣고 압수당한 적 있어서 그 후로는 습관이 됐어요.
그리고 에어부산 탔을 땐 진짜 머리 위 선반에 올려놨다가 승무원이 직접 내려달라고 하더라고요.
🧭 여행 전 꼭 해야 할 체크리스트
✅ 내가 탈 항공사 확인
✅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 (Wh 단위!)
✅ 절연 처리 및 파우치 준비
✅ 공항에서 충전 미리 완료
✅ 규정 바뀌었을 수 있으니 출발 전 항공사 홈페이지 체크!
⚖️ 보조배터리 반입, 법적으로도 정해져 있어요!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은 단순히 항공사마다 다른 게 아니라,
‘항공보안법’과 국토교통부의 고시에도 명시돼 있어요.
특히 2023년 12월 개정된 항공위험물운송기준고시에 따라
리튬이온 배터리 제품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배터리 종류 | 반입 가능 여부 |
---|---|
100Wh 이하 | 기내 반입 O / 위탁 수하물 X (최대 5개까지) |
100Wh 초과 ~ 160Wh 이하 | 기내 반입 가능(항공사 승인 필요) / 위탁 수하물 X (최대 2개) |
160Wh 초과 | 기내·위탁 모두 반입 금지 ❌ |
🚫 항공보안법 제23조에 따라
승객은 항공기 안전을 위해
“화재 위험이 있는 물품을 반입하거나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또한, 리튬배터리 부착 전자기기의 경우에도,
배터리가 분리 가능해야 하고, 분리된 배터리는 절연 처리 후 별도 보관이 원칙이에요.
✍️ 참고 법령 및 규정:
- [항공보안법 제23조(항공기 내 위해행위의 금지)]
- [국토교통부 고시: 항공위험물운송기준 제2023-122호]
-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위험물 규정 DGR 65판]
이처럼 보조배터리 반입은
국제 기준 + 국내 항공보안법 + 항공사 자체 규정의
삼중 체계로 관리되고 있어요.
그러니 “예전에 그냥 들고 타도 됐는데?” 하면서
무심코 위탁 수하물에 넣거나, 200Wh 넘는 배터리를 들고 가면
공항 검색대에서 압수되거나 과태료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