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17:14:48
(서울=뉴스1) 박기현 기자 =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가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에 대한 논란으로 블랙홀에 빠지고 있다.
9일 야권에 따르면 전 씨는 전날 전당대회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에서 조경태 대표 후보,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 등 찬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성) 후보들을 비난했다. 이에 전당대회장에서는 찬탄·반탄(탄핵 반대) 후보 지지자들 간 몸싸움까지 벌어지는 등 후보들 비전 발표보다는 전 씨 논란이 뒤덮였다.
결국 당 지도부는 전날 밤 긴급 지시를 통해 전 씨의 전당대회 행사 출입을 금지했고, 이날 오전에는 징계 절차 착수를 결정했다.
당권 주자인 안철수·조경태 후보는 전 씨를 출당·제명하라고 요구했고, 김문수·장동혁 후보는 불공정한 징계라고 반발하는 등 후보들까지 이번 논란에 가세하고 있다.
당 일각에서는 전 씨의 출입을 허가한 자에 대한 문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마저 나왔다.
이런 가운데 전 씨는 당 윤리위 징계 조치에 대해 “언론 탄압”‘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부터 징계하라”며 반발했고, 오는 12일로 예정된 부산·울산·경남 합동연설회에도 참석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등 논란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미 전 씨는 이번 전당대회를 앞두고 존재감을 꾸준히 드러내 왔다. 당 내부에서는 이미 평당원이 아닌 정치인 수준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목소리까지 나왔다.
전당대회 초반에는 전 씨가 입당 소식을 공개하면서 당 극우화 논란에 중심에 선 바 있다. 이때마다 반탄 주자들은 전 씨를 지지층 결집 수단으로 삼는 반면, 찬탄 주자들은 전 씨와 각을 세우며 선명성을 부각했다.
이 때문에 전당대회가 ‘친윤 대 반윤’ 구도가 아니라 ‘친길 대 반길’ 구도로 전락했다는 평가까지 제기됐다.
국민의힘이 전 씨를 제명한다 해도 당원권 자격만 박탈될 뿐이라, 논란의 근본 원인은 제거되지 않는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전 씨가 입당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을 때도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 씨가 주최하는 반탄 집회에 경쟁적으로 참석했다.
‘3·1절 국가비상기도회’ 집회에는 국민의힘 의원 40여 명이 참석했는데, 이 자리에서 전 씨를 ‘진실의 전달자’라 추켜세우는 의원도 있었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전 씨가 전당대회에서 영향력을 이토록 행사하면 국민의힘이 극우 정당이 됐다고 해도 할 말이 없다”며 “근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를 주장한 사람들을 축출해야 한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