꿩을 육회로 먹는다고? 충주 맛집들이 미쳐 돌아간다

(여행지도 유시내 기자) 충청북도 충주. 교통의 요지이자 중원문화의 중심지라는 이 도시엔, 화려하지 않지만 오래도록 사랑받아온 음식들이 존재한다.


꿩 육회 - 본가할매숨두부 꿩요리
꿩 육회 – 본가할매숨두부 꿩요리


굽이굽이 흐르는 강줄기, 소박한 산길, 그 길을 따라 발전한 충주의 밥상은 시간이 지나도 흔들리지 않는 맛을 품고 있다.


꿩으로 차려낸 도시의 얼굴


충주의 식도락을 이야기할 때 ‘꿩요리’를 빼놓을 수 없다. 수안보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이 음식은 과거 산속에서 쉽게 잡히던 꿩을 식재료로 삼은 데서 유래한다. 지금은 사육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되며, 꿩샤브샤브, 꿩육회, 꿩만두, 꿩매운탕 등으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특히 꿩샤브샤브는 육수에 무와 꿩 뼈를 우려낸 뒤, 얇게 저민 가슴살을 살짝 데쳐 먹는 방식이다. 육질은 부드럽고 잡내 없이 깔끔해, 보양식으로도 인기가 높다.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별미로 자리 잡은 꿩요리는 충주의 대표 미식 코드다.


꿩 만둣국 - 충주시
꿩 만둣국 – 충주시


강이 만든 매운 맛, 민물의 깊은 풍미


충주는 내륙임에도 불구하고 남한강과 달천강 등 수계가 발달해 있어 민물고기를 이용한 음식 문화가 두드러진다. 특히 ‘새뱅이매운탕’은 충주 특유의 얼큰한 강 요리로, 민물새우의 깊고 깔끔한 감칠맛이 일품이다.


민물고기 특유의 흙냄새를 잡기 위해 된장과 채소를 아낌없이 넣는 방식은 지역 특유의 방식이다. 빠가사리, 쏘가리, 메기 등을 주재료로 한 매운탕집은 충주호 인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일부 식당에선 민물회까지도 제공해 강 중심 식문화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보양어죽 - 충주시
보양어죽 – 충주시


자연주의 한 상, 담백함의 미학


충주의 전통 식문화는 전체적으로 간이 세지 않고, 기름기가 적으며 자연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산채나 닭, 꿩, 두부 같은 식재료를 바탕으로 한 국물요리나 비빔밥, 만두 등은 건강식을 선호하는 이들에게 알맞다.


대부분의 지역 음식이 ‘웰빙’과 연결되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장류나 젓갈 사용이 적고 파·마늘·된장 위주의 기본 양념만으로 맛을 낸다. 이는 자극보다는 은은한 풍미를 중시하는 충북 음식의 특징이기도 하다.


사과채소 쟁반비빔국수 - 충주시
사과채소 쟁반비빔국수 – 충주시


곡물에 담긴 오랜 조리법의 흔적


곡물이 풍부한 지역답게, 충주는 밥·죽·국수·떡 등 곡물 중심의 음식이 발달해 있다. 충주삼합, 충주묵밥, 곤드레밥, 사과채소쟁반국수 등은 최근 지역 축제나 로컬푸드 시장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는 메뉴들이다.


여기에 충주산 사과나 배, 포도 등을 활용한 후식류도 발달했으며, 꿩만두국이나 다슬기해장국, 칡국수 같은 음식은 식사와 해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메뉴로 떠오르고 있다.


충주의 음식은 시선을 끄는 비주얼보다는 먹고 난 뒤의 인상을 오래 남긴다. 겉으로는 소박하지만 한입 한입이 고요하게 다가오는 맛, 그게 바로 충주가 지켜온 음식의 품격이다.


한적한 강변, 낡은 한옥식당, 그리고 구수한 국물 한 모금. 충주의 밥상은 오늘도 느리지만 확실하게, 미식가들의 기억 속에 흔적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