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표를 구하려는 시민들이 접속한 예매 사이트. [ⓒPexels ‘JÉSHOOTS‘]](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49_5866_198.jpg?resize=840%2C458&ssl=1)
서울역부터 SRT 수서역까지 명절 때마다 반복되는 ‘피 말리는 예매 전쟁’ 이면에, 수십만 장의 기차표가 사용되지 않은 채 열차가 빈 좌석으로 달리고 있다.
‘노쇼’(예약 후 미사용) 열차표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단순한 소비 행태가 아닌 사회적 낭비이자 구조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2025년 추석을 앞두고 이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실사용은 절반, 비운 좌석은 수십만 장
![명절 KTX 좌석을 반쯤 비운 채 달리는 실제 상황을 담은 화면. [ⓒPexels ‘Daniel Frese’]](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49_5867_1914.jpg?resize=840%2C458&ssl=1)
2025년 설 연휴 기간 동안 KTX와 SRT 등 고속철 예매표 약 793만 장 중 303만 장이 반환되었고, 이 중 약 34만 장은 끝내 재판매되지 않아 빈 좌석으로 운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설·추석 연휴에도 44만 장 이상의 노쇼표가 발생했다. 이처럼 국민은 예매 경쟁에 지쳐가는데, 실제 열차는 빈 좌석을 안고 운행되는 기형적인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
게다가 일부 이용자는 대량 예매 후 전량 환불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철도 시스템을 악용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1,400명 이상의 상습 환불 이용자가 적발되었으며, 한 사례에서는 한 명이 무려 3만 장 이상을 예매했다가 99%를 환불받아 사회적 공분을 샀다. 결국 철도사로선 좌석을 채우지 못하고, 실제 이용객은 표를 구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구조적 허점이 만든 예매 전쟁의 역설
![온라인 열차 예매 시도 중 오류가 뜨는 화면 캡처. [ⓒ여행픽]](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49_5868_1921.jpg?resize=840%2C458&ssl=1)
이 같은 노쇼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철도사의 환불 제도가 허술해 출발 직전 취소에도 낮은 위약금이 적용되며, 이로 인해 환불 후 좌석을 다시 판매하기 어렵다. 반환된 표를 자동으로 실시간 재배치하지 못하는 시스템도 문제다.
또한 ‘혹시 모르니 일단 예매하고 나중에 취소하자’는 이용자들의 심리도 구조적인 낭비를 유도하고 있다. 이는 명절 예매 시스템의 비효율성, 고정된 좌석 배분 방식, 수요 예측 부족 등 전반적인 철도 예매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로 이어진다.
결국 철도 좌석이라는 한정된 공공 자원이 낭비되고, 진짜 필요한 사람들은 열차를 타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위약금 인상만으론 해결 안 된다
![매년 더해지는 열차 예매와 관련한 이슈들. [ⓒPexels ‘JÉSHOOTS‘]](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49_5869_1929.jpg?resize=840%2C458&ssl=1)
코레일과 SR은 문제 해결을 위해 2025년부터 위약금을 2배로 인상했지만, 올해 설 기준 미판매 좌석 규모는 오히려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단순히 위약금만 높인다고 노쇼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을 방증한다.
현재 국회와 철도사들은 ▲환불 제한 시간 도입 ▲상습 노쇼자 예매 차단 ▲보증금형 예매 제도 ▲AI 기반 좌석 재배치 시스템 등 다양한 제도 개선을 검토 중이다. 다만, 이용자 불편을 줄이면서도 시스템을 악용하지 못하게 하는 절묘한 균형이 필요하다.
제도와 인식, 모두 바뀌어야 한다
![시스템 개선과 정책 제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Pexels ‘Byung Chul Min’]](https://i0.wp.com/tour.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09/1349_5870_1939.jpg?resize=840%2C458&ssl=1)
열차 노쇼는 단순한 예매 실패나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공공 교통 인프라의 비효율성과 사용자 행태의 부조화가 맞물린 결과다. 지금처럼 방치된다면 매 명절마다 반복되는 예매 실패와 공석 운행의 악순환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노쇼를 막기 위한 정책은 처벌과 억제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정확한 수요 예측과 기술적 대응, 그리고 이용자의 공공 의식 제고가 병행되어야 한다. 고속철 좌석 하나하나가 귀중한 자원임을 다시 생각할 때다.